한국직업능력개발원
민간자격등록기관
[자격번호 : 제2024-005779호]
5학년 엄마들 모임이 있었다.
학교 총회가 끝난 다음 임원들 엄마와 시간이 되는 엄마들 맥주 한 잔 소리가 있어 간 자리다.
음, 이럴 때는 5치곤 즐기는 자리이긴 하다. 큰 아이가 전학을 간 뒤의 자리라 학교를 잘 모르기도 하고, 적극 참석 중이다.
생각하면 그렇게 그런 자리를 싫어하지도 않는다(왜 일까???-사회적 본능?)
간간히 얘기를 나누던 중 한 엄마가 도착했다. 엥? 이 엄마가 날 잘 안단다.
알고 보니 같은 라인의 엄마다. 나 이사 온지 1년 반이 넘었다.
그 아이의 아빠는 내 직업도 아신단다.(우리 큰 아이의 힘)
난 모른다. 그 엄마의 얼굴을 자세히 보니 아는 엄마다. 가끔 알긴 하지만 정확히^^ 알지 못하기 때문에 쌩까고 다닌 맘이다.
큰 아이들이 같은 반이 된 것이다.
그냥 공개적으로 "내가 싸가지 엄마네"하고 풀어 버렸다.
이제는 확실히 인사를 할 결정적인 요인이 생긴 것이다.
그 집 큰 아이가 나와 좀 비슷한 과이다. 그래서 엘레베이터에서 만나면 서로 알지만 서로 모른척
그 아이의 기운을 알기에 그냥 놔둔다.
그 엄마 오늘 열 받았다. 우리 담임 만나고
그냥 예의상 우리 아이가 내성적이어서 너무 조용하지요? 그냥 인사말이었다.
우리 큰 아이 담임(5유형인 것 같으다). 그 엄마에게 꼭 집어 얘기 하셨다. "아이가 선택적 함구증 혹시 아닌가요?"
그 엄마 제대로 기분 상했다. 내성적인 아이들 더구나 5유형의 아이들 선택적 함구(골라서 얘기한다는 뜻이다.)할 수 있다. 그런데 그걸 꼭 엄마에게 그렇게 직선적으로 얘기해야 할까? 좀 돌려서 해도 될 것을
그 엄마는 굉장히 활달한 성격이다.
엄마들이 많이 모이며 좀 피곤한 일도 왕왕 발생한다.(내 기준에)
그래도 아이를 키우면서 주변에 알고 지내는 것이 나쁜 것은 아니기에. 또 아이가 멍석을 깔아 주었기에
만나게 되면 꽁지 빼지 않고 만날 생각이다.
ㅋㅋㅋ 이제는 인사를 할까 말까 고민 안해도 된다. 한 번 얼굴 제대로 텃으니 인사를 하면 되겠다.^^
[출처] 싸가지 엄마 제대로 걸린 날 (한국에니어그램마인드코치협회) |작성자 나혜연